대한민국의 변화가 시작되는 성남
미래가 가장 빨리오는 도시 성남
성남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위치

성남시는 중부지방의 경기도 내의 중앙인 동시에 수도 서울의 중심부에서 한강을 접한 동남방 약 26Km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동쪽은 광주시 중부면과 하남시에 접하여 있으며, 서쪽은 의왕시/과천시에 접하여 있고, 남쪽은 용인시 수지읍과 광주시 오포면, 그리고 북쪽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송파구의 여러 동과 접경을 이루는데, 경기도청의 소재지인 수원과 약 22Km, 안양은 18Km, 광주시청이 있는 경안과는 약 12Km 거리에 도심부를 성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의 접경선과는 약 3.5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면적으로 구성된 표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141.64㎢ 45.46㎢ 26.41㎢ 69.77㎢

인구

(2024년 6월 기준)

구분 별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인구수 현황으로 구성된 표
구분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인구수 917,192 237,179 209,071 470,942
65세이상 157,114 44,869 40,194 72,051
세대수 410,877 117,458 101,068 192,351
등록외국인 28,263 17,528 4,330 6,405

자세한 사항은 성남통계연보를 참조 바랍니다. 성남통계연보

행정구역

(2024년 6월 기준)

구분 별 동(행정/법정), 통, 반, 면적 현황으로 구성된 표
구분 면적(㎢)
행정 법정
성남시 50 44 1,377 8,299 141.63
수정구 17 17 347 2,099 45.45
중원구 11 9 300 1,790 26.41
분당구 22 18 730 4,410 69.77

출처 : 성남시 홈페이지

시의 상징

심벌마크, 마스코트, 시의 꽃, 시의 나무, 시의 새로 구성된 표
심벌마크 마스코트 시의 꽃 시의 나무 시의 새
성남시 로고 새남이, 새롱이 철쭉 은행나무 까치
  • 심벌마크

    시의 꽃인 철쭉과 남한산성, 신도시의 발전상을 상징적으로 표현 전체적으로 21세기, 조화롭게 발전하는 열린 성남시를 상징

    • 다섯개의 철쭉꽃잎 :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복지가 조화롭게 발전함을 의미
    • 철쭉꽃 속 성곽 : 남한산성을 표현한 것으로 역사의 전통성을 슬기롭게 계승하고 희망찬 미래를 가꾸어 가는 성남시의 숭고한 정 정신을 의미
    • 타원속 기둥 : 현대도시로 발전하는 활기찬 성남시
    • 적색 : 진취적으로 발전하는 활기찬 성남시
    • 황색 : 역사의 전통성을 계승 발전시키는 친근한 성남시
    • 청색 : 맑고 푸른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쾌적한 성남시
  • 마스코트

    남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성남시의 지도형상인 타원이미지와 미래 첨단공간이라는 이미지, 남한산성의 역사적인 이미지를 모티브로 미래와 자연, 과학과 전통, 환경과 행복을 표현

    • 새남이(좌) : 발전하는 마천루의 형상적용
    • 새롱이(우) : 성남시 발전의 젖줄인 탄천을 모티브로 적용
  • 시의 꽃

    철쭉

    • 특징 : 귀족적인 분위기, 개화기가 오래감, 척박한 토질에서 잘 성장함.
    • 상징 : 줄기찬 번영
  • 시의 나무

    은행나무

    • 특징 : 수명이 장수함, 기후 토질에 적응성이 강함, 우아한 수형을 이룸
    • 상징 : 번영과 쾌적하고 활기찬 도시, 노력하고 바르게 사는 시민 상
  • 시의 새

    까치

    • 특징 :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
    • 상징 : 만민에게 환영

시민의 노래

성남시민의 노래 악보

역사

  • 삼국시대( 옛 지명 : 한산주(漢山州), 남한산주(南漢山州) )

    서기전 18년 백제 시조 온조왕이 도읍지로 정한 하남 위례성의 옛터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지역으로서, 신라가 점령한 후 767년(경덕왕16)에 시행된 한화정책에 따라 한주로 개명되었다.

  • 고려시대( 옛 지명 : 광주(廣州) )

    940년(고려태조23)에 "광주"로 개칭하여 부르게 되었고,
    983년(성종2)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 광주목으로 되었으며,
    1310년(충선왕2)에 전국 주군의 읍호를 고칠 때 지주사로 강등되어 8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356년(공민왕5)에 다시 광주목으로 복귀되었다.

  • 조선시대( 옛 지명 : 광주부(廣州府) )

    1395년(태조4) 양광도를 경기 좌우도로 편하여 광주목은 경기좌도에 예속되었다가,
    1795년(정조19)에 유수겸수어사로 확정 설치되어 19세기말까지 지속되었다.

  • 근 대( 옛 지명 : 광주군(廣州郡) )

    1895년(고종32) 5월26일 한성부 광주군으로 되었고,1896년 경기도 광주부가 되었다가,
    1906년(광무10) 9월 24일 광주군으로 다시 강등 광주군수를 두게 되었다.

  •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1946. 3. 3 종전 세촌면 관할구역 6개리(단대, 탄, 수진, 상대원, 복정 창곡지역 27.43Km2)를 관할하는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를 설치하여 탄리 275번지에 개소하였다가, 1948년 수진리로 이전.
    1968. 5. 7 서울특별시가 건설부로부터 개발인가를 받아
    1969. 4. 1 "중부면 성남지구 일단의 주택단지 경영사업" 조성공사에 착수하였으며, 1969년 5월 2일부터 서울특별시 철거민 집단 입주가 시작되었다.
    1971. 9. 13 경기도 관할 성남출장소를 설치하여 집무 개시.
    1973. 7. 1 수도권의 인구집중 억제와 수도권 주변의 무질서한 도시확산 및 서울특별시 외곽 도시의 합리적인 육성을 위한 법률 제 2597호 (1973. 3. 12) "시설치와 군의 폐지분합에 관한 법률" 의 제정공포에 따라 성남시로 승격. 1실, 10과, 2개 사업소, 2개 출장소, 18개 동사무소를 설치하여 시행정 업무를 관장하게 되었다.
    1989. 5. 1 성남시조례 제931호에 의해 수정출장소, 중원출장소 2개 출장소가 각각 수정구와, 중원구로 승격되었다.
    1991. 9. 17 성남시 조례 1152호 공포로 분당출장소에서 분당구로 승격 개청하였다.
    2008. 12. 22 판교동에서 삼평동을 분동하여 관할함
    2009. 10. 05 판교동에서 백현동을 분동하여 관할함
    2011. 11. 7 중원구 중동을 중앙동으로 명칭변경 및 하대원동 1개 필지(하대원동 538-1)를 중앙동으로 편입
    2015. 5. 1 분당구 정자1동을 정자동과 정자1동으로 분동
    2015. 11. 2 수정구 복정동을 복정동과 위례동으로 분동

  • 옛 지명 유래
    • [성남시 城南市, Seongnam-si] 조선 시대 광주부 세촌면(細村面) · 돌마면(突馬面) · 낙생면(樂生面) · 대왕면(大旺面) 일대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주목 누정조에 이문형(李文泂)이 쓴 「압구정기(狎鷗亭記)」에 "빛나는 정자 높이 한강 물가에 임하니, 성남(城南) 지척 사이에 홍진(紅塵)이 막혔구나."라는 구절에 성남 지명이 나타난다. '성남'은 남한산성 아래에 있어 붙여진 것으로 '성내미' 혹은 '성나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1946년 광주군 중부면에 성남출장소가 설치되면서 성남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수정구 壽井區, Sujeong-gu]경기도 성남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구이다. 1989년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수진동(壽進洞)과 복정동(福井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붙여진 지명이다. 복정동은 『여지도서』 광주부 방리조에 '세촌면 복정리(復井里)'로 기록되어 있다. 지명의 한자가 바뀐 연유는 알 수 없다. 물맛이 좋은 복스러운 우물이 있어 '복우물'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수진동은 세종대왕의 일곱째 아들 평원대군(平原大君:琳)이 사망하자 영장산(靈長山) 남쪽에서 장사지내고 그 묘소를 관리하는 수진궁(壽進宮)을 짓고 궁말 · 궁촌 · 수진궁 · 수진동(壽進洞) · 수진리라 불리어 온 데서 지명이 유래한다고 전한다. 『신구대조』에 광주군 중부면에 복정리와 수진리가 기록되어 있다. 현재 수정구는 단대동 · 산성동 · 양지동 · 복정동 등 16개 행정동과 창곡동 · 오야.동 · 심곡동 · 금토동 등 7개 법정동을 관할한다.
    • [중원구 中院區, Jungwon-gu] 경기도 성남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다. 서울 잠실역에서 약 10km 떨어져 있다. 구 이름은 '중동'(中洞, 현재의 중앙동)과 '대원동'(大院洞, 상하로 갈라짐)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북쪽으로는 하남시와 광주시, 동쪽으로는 광주시, 남쪽으로는 분당구, 서쪽으로는 수정구에 접한다. 북쪽으로는 남한산성과 청량산, 검단산 등이 준령을 이루며 중앙 저지에는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1988년 중원출장소로 설치되었고 1989년 5월에 구로 승격되면서 신설되었다. 1991년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승격되면서 분리되었다. 또 같은 해에 수정구 둔전동(屯田洞) 일부가 성남동(城南洞)으로 편입되었다. 관할구역은 성남동(城南洞), 중동(中洞), 금광(金光) 1~2동, 은행(銀杏) 1~2동, 상대원(上大院) 1~3동, 하대원동(下大院洞) 등 10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분당구 盆唐區, Bundang-gu]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이다. 분당 신도시 지역이며, 탄천이 남북으로 관통하면서 흐른다. 조선시대 광주군 돌마면 일대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분점리(盆店里)와 당우리(唐隅里)가 병합되어 분당리가 되었다. 분당리(盆唐里)는 당모루·장터·안골·점골 등의 자연마을을 합한 지명이다. 옛날에는 동이점이라 불렀으나 이후에 분점리(盆店里)라 하였다가 다시 분점리의 '분'자와 당우리의 '당'자를 취하여 분당리로 칭하게 되었다. 분점리는 동이를 구웠다는 옹기점(甕器店)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당우리(당모루)는 당집이 있는 당모퉁이 동네라는 의미로 부르던 이름이라고 한다. 원래는 '당(唐)'이 아닌 '당(堂)'이 맞지만, 고려말 귀화한 당성(唐誠)의 후손이 사는 고을로서 '당모루'라고도 칭하였으므로 두 글자를 혼용하여 당우리(唐隅里)가 되었다고 전한다. 1971년 성남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73년 성남시 분당동이 되었다.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다가 1989년 중원구 관할이 되었다. 분당 신도시 개발로 1991년 분당동·판교동·이매동·운중동·금곡동을 분리하여 분당구가 신설되었다. 관련 지명으로 탄천·분당저수지·중앙공원 등이 있다.`

    -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

TOP